freeboard
�� �б�
제목 삼성 갤럭시 노트7: 실패와 이미지 회복 추천 1 IP 주소 180.230.xxx.246
글쓴이 CopyCat 날짜 2016.10.08 23:25 조회 수 1980

(더버지 글을 번역한 글입니다.  전체적으로 제가 생각하는 것과 비슷해서 가져왔습니다. 다만, 더버지 특성상 원문에서 애플 얘기를 너무 많이 하는 것 같아 불필요한 부분은 삭제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Screen Shot 2016-10-08 at 11.15.06 PM.png


이번 여름, 삼성전자는 모바일 사업 역사상 최악이라 할 수 있는 사태를 겪었습니다. 심각한 배터리 하드웨어 결함으로, 판매된 모든 갤럭시 노트7을 리콜해야 하는 큰 사건이었습니다. 갤럭시 노트7이 공개가 되고 판매가 시작되고 얼마 후 국내에서 시작해 전세계 여기저기서 발화 및 폭발하는 사건들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삼성은 9월 초에 리콜을 발표하고 노트7은 다시 성공을 향해 나아가는 듯 했으나, 10월 첫주인 아직까지도 사건은 종료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제는 삼성이 갤럭시 노트7의 실패를 인정하고 미래를 위해 나아가야 하는 시점입니다. 노트7의 판매를 중단하고 다른 라인업에 더 많은 노력을 쏟아 부어야 할 것입니다. 현재 상황에서 삼성이 이해하지 못한다고 보여지는 것이 있다면, 현대의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더 뛰어난 제품들이 나오면 전에 있었던 사건들은 묻히고 사람들에게 잊혀져 간다는 사실입니다. 애플 아이폰 4의 안테나 게이트, 아이폰 6의 밴드게이트 등이 예 입니다. 하지만 삼성은 마치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듯, 반대의 행동을 보이고 있습니다. 삼성은 이 사건을 신속하게 처리하지 못해, 자사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계속 노출시키는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한국은 물론 미국 등 세계적으로 여러 대중 매체에서 노트7의 폭발은 놀림거리가 되었으며, 이렇게 노트7의 안좋은 이미지는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삼성이 노트7 사태를 다루는 과정은 깔끔하지 못했습니다. 당초에 삼성은 글로벌 리콜을 발표해 문제를 해결하는 듯 싶었으나, 미국에서 CPSC와 공식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고 자체적으로 진행한 것이 문제가 되었습니다.그리고 배터리 충전 용량을 60%로 제한해 비난을 사기도 했습니다.  마침내 결함을 수정했다고 확신한 삼성은 노트7의 개선판을 판매 재개했으나, 이 역시 한국 및 미국에서 발화하는 사건이 일어나고 말았습니다. 물론 이 사건들은 아직 사고 경위가 파악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여러분이 홍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이 사건이 얼마나 삼성에 악영향을 끼칠지는 아실겁니다. 세계적으로 모든 항공사가 매 비행 전 특정 브랜드의 스마트폰은 안전하지 못하다는 말을 하는 것이 얼마나 부끄러운 일이고 매출에 영향을 주는지 역시, 마케팅을 전공하지 않아도 누구나 알것입니다. 이 시점에서 노트7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은 방화광이나 골수 삼성 팬 밖에 없을 것입니다. 


현 시점에서 노트7의 가치는 추락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노트7에서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면, 갤럭시 노트7의 가치는 물론 삼성 전체의 브랜드 이미지까지 타격은 점점 더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스마트폰의 배터리 폭발 사건은 어느 제품이나 피해갈 수 없는 일이지만, 노트7의 경우 앞으로 발화 사건이 있을 때마다 다른 제품보다 크게 보도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입니다.


삼성은 단기적이 아닌 장기적 브랜드 이미지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즉, 현재 갤럭시 노트7에서 이익을 낼 수 없게 되더라도, 이미 가치가 떨어지고 부정적인 이미지로 뒤덮힌 노트7의 판매를 전면 중단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습니다. 이 사태를 종료하고, 손해를 보더라도, 삼성 갤럭시 브랜드의 이미지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갤럭시 S8에 총력을 기울이고 심혈을 기울여서 만든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노트7의 어두운 그림자 속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출처: The Verge (링크)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언더케이지 게시판 이용안내 (11/11/2016 개정) [11] KGNEWS 2016.11.11 90078 0
공지 언더케이지 리뷰 관련 FAQ (2016.10.10) [26] UnderKG 2016.10.10 46722 1
공지 서비스 제휴 관련 안내입니다. [10] UnderKG 2014.06.25 120432 0
531 WWCD 정리(IOS18) [1] 무한텔로미어 2024.06.11 282 0
530 컴 견적 중 RTX3070 중고가… 퍼플퍼플 2023.01.03 6805 0
529 애플페이가 들어오기 전 꼭 알아둬야 할 사항! 미성년자 필독 [12] 무한텔로미어 2022.09.14 5391 0
528 Nothing Phone 고의적으로 700니트로 제한 [2] minjae1025 2022.08.14 1313 0
527 미쳐버린 구글어시스턴트 [2] file 무한텔로미어 2022.05.22 1660 0
526 유튜브 업데이트 나왔습니다 (아이폰, 아이패드 유저분들은 바로 업데이트하세요) file 하이루 2022.05.20 1670 0
525 버그땜에 말이 많던 픽셀 6의 업데이트 내용 [2] minjae1025 2022.03.22 1191 0
524 아이패드 에어 4세대 개봉기! [10] 퍼플퍼플 2022.03.04 693 0
523 어.. S22, S22+ 사실 48Hz? [6] file minjae1025 2022.02.12 1597 0
522 윈도우 11에 Google Play 스토어 설치 한번 해봤습니다. [2] aroxu 2021.10.29 3139 0
521 One UI 4 베타 2 다음 주 출시 [1] file minjae1025 2021.09.29 698 0
520 폴드 3에서 부트로더 언락시 생기는 불이익 [4] file minjae1025 2021.08.25 1551 0
519 (수정) 아이폰 지금사면 호군가요 [7] LTE8 2021.08.17 740 1
518 윈도우 11 요구 사항 우회가 더 어려워짐 file minjae1025 2021.08.01 1364 0
517 iOS 14.7 업데이트 [1] ATHLON64 2021.07.20 736 0
516 윈도우 11 지원 안되는 컴도 되게 하는법[비공식] file minjae1025 2021.06.28 799 0
515 이번wwdc 80확률 이상 목록 (퍼옴) [1] 12pro 2021.06.07 1221 0
514 요새 무선이어폰들 외이도염 이슈로 심각하다던데 [21] Sheep201 2021.05.09 2688 0
513 제가 알던 애플이 맞나에 대하여 [3] file 범고래영고래 2021.04.23 8143 0
512 노치 디자인 [11] cks7001 2021.04.12 123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