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LG V30 음향 리뷰: 인공호흡기 제거 | 추천 | 0 | IP 주소 | |
---|---|---|---|---|---|
글쓴이 | STUDIO51 | 날짜 | 2017.10.30 21:53 | 조회 수 | 65683 |
안녕하세요 언더케이지 음향리뷰 담당 STUDIO51입니다. 이 글은 영상에서 설명하지 못한 세세한 부분을 다룹니다. 측정 개요 1. 모든 데이터 표기 방법, 측정 파형, 측정 환경은 AES-17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몇몇 측정 항목에 한해서 이신렬 박사님의 자문 하에추가, 수정하였습니다. 2. 측정 장비는 국제 표준 측정 장비인 Audio Precision사의 APx 525를 사용하였습니다. APx525는 Audio Precision 한국 지사인 B&P 인터내셔널사와 이신렬 박사님의 지원이 있었습니다. 3. 측정은 APx Waveform Generator Utility 4.4의 24Bit 192kHz 음원을 사용하였습니다. 단 주파수 응답 측정에 사용된 1/6oct 20Hz-90kHz 파형은 24bit 192kHz, 스테레오로 변환하여 측정하였습니다. 모든 음원은 아이튠즈를 사용하여 동기화 하였으며, 기본 음악 플레이어로 측정하였습니다. 4. 모든 기기는 충분히 충전된 상태로, 비행기모드에서 측정하였습니다. 배터리가 부족하거나, Wi-Fi, LTE가 켜져있는 상태에선 측정값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5. 본 측정은 모든 기기를 대표하지 않습니다.
6. 본 측정에 사용된 스마트폰들은 스마트앰프를 탑재한 기기입니다. 이어폰, AUX, 헤드폰의 3가지 모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모드의 측정을 위해 AUX는 무부하로, 이어폰은 32옴 부하를, 헤드폰모드는 300옴 부하를 연결하여 측정하였습니다.
7. 이신렬 박사님은 측정 데이터 검증에 참여하실 뿐 데이터 해석에는 관여하지 않으셨습니다.
8. 각 측정 항목의 이름 옆의 괄호는 측정에 사용된 음원과 측정기기의 필터값을 명시합니다. 대부분 AES-17의 권고안을 따릅니다. 9. V30은 디지털 필터를 탑재한 스마트폰입니다. 3가지 모드가 있으나, 측정시에는 기본(Short) 필터를 적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측정환경 좌: V30 / 우: G6 각 항목의 측정치는 이어폰, 라인아웃, 헤드폰 모드 순서입니다. 1. 최대 출력 (0dBFS, 1000Hz, HPF: 20Hz ,LPF: 20kHz) 최대 출력은 음향기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전압값을 표시합니다. 단위는 Vrms를 사용합니다. 높을수록 더 다양한 리시버를 손쉽게 구동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값입니다. 이어폰 모드
라인아웃 모드 헤드폰 모드 2. 잔류 노이즈 (Silence undithered, HPF: 20Hz, LPF: 20kHz, A-wgt) 잔류노이즈는 기기가 가지는 노이즈의 전압값을 측정합니다. 낮을수록 "화이트 노이즈" 라고 불리우는 잡음의 양이 적다는 의미입니다. 이어폰 모드 라인아웃 모드 헤드폰 모드 3. SNR (1000Hz, 0dBFS, HPF: 20Hz, LPF: 20kHz, A-wgt) SNR은 최대출력과 잔류 노이즈 사이의 간격을 측정합니다. 단위는 dB이며, 값이 클 수록 잔류노이즈는 작고, 최대출력이 높은 좋은 소리를 의미합니다. 이어폰 모드 라인아웃 모드 헤드폰 모드 4. DNR (1000Hz, -60dBFS, HPF: 20Hz, LPF: 20kHz, CCIR-2K wgt) DNR(다이나믹 레인지) 는 SNR과 원리 자체는 같습니다. SNR은 신호 사이에 무음구간을 두어 노이즈 플로어와 최대 출력 사이의 간격을 측정했다면, DNR은 0dBFS(최대출력)과 -60dBFS 신호를 사용하여 노이즈 플로어와 최대 출력 사이의 간격을 측정합니다. 이어폰 모드 라인아웃 모드 헤드폰 모드 5. THD+N (997Hz, 0dBFS, HPF: 20Hz, LPF: 20kHz) THD+N은 기기의 왜곡을 측정합니다. 단위는 dB이며 낮을수록 (절대값이 클 수록) 좋은 값입니다. 이어폰 모드 V30은 G6와는 다르게 이어폰 모드의 THD가 매우 나쁘게 나왔습니다. 라인아웃 모드 헤드폰 모드 5.1 Bench mode (997Hz, 0dBFS, HPF: 20Hz, LPF: 20kHz) 본 측정은 기기의 왜곡률을 판단하기 위해서 추가로 측정한 데이터입니다. AudioPrecision의 Bench mode 에서 측정하였습니다. 아래 화면은 THD와 전압과 FFT 스펙트럼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습니다. 빨간 박스 값은 현재 출력 전압을, 파란 박스는 현재 THD+N의 수치를 보여줍니다. 파란박스 위 그래프는 THD를 FFT로 변환한 그래프로써 왜곡성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노트8과의 왜곡률을 비교하기 위해서 비교측정하였습니다. 왼쪽은 V30 오른쪽은 노트8 입니다. 최대출력 (V30: 75/75, N8: 15/15)(측정볼륨/최대볼륨) V30과 노트 8 모두 최대출력에서 측정한 그래프입니다. 출력은 높을수록 부하의 임피던스는 낮을수록 기기에 큰 왜곡을 만들어냅니다. 부하 조건은 동일하고 V30은 398mV 노트8은 422mV로 노트8이 조금 불리한 상황입니다. V30은 THD가 -73dB 노트8은 THD가 -70dB로 노트8이 값이 더 나쁩니다. (노트8 기준) 볼륨 1칸 낮춤 (V30: 69/75, N8: 14/15) V30은 볼륨 세분화 기능이 있기 때문에 노트8의 1칸 낮춘 전압과 맞추기 위해서 볼륨을 69/75로 맞추었습니다 이때 V30은 THD가 -79dB 노트8은 -76dB입니다. (노트8 기준) 볼륨 2칸 낮춤 (V30: 64/75, N8: 13/15) 이때 V30은 THD가 -86dB 노트8은 -81dB입니다. 전체적으로 같은 레벨일때는 V30의 왜곡률이 노트8의 왜곡률 보다 소폭 낮으나, 어느쪽이 더 낫다라고 볼 수 없을정도로 엉망입니다. 반면에 아이폰8은 두 제품보다 출력은 두배 이상 높음에도 불구하고 THD는 -93dB로 매우 좋은 수치를 보여주었습니다. 5.2 THD FFT (997Hz, 0dBFS, HPF: 20Hz, LPF: 20kHz) 아래 그래프는 Bench Mode 측정 에서 오른쪽 상단의 THD FFT 부분만 확대한 그래프입니다 위 그래프와 마찬가지로 1kHz에 큰 신호를 제외한 오른쪽의 신호들은 전부 왜곡들입니다. 마찬가지로 왼쪽은 V30 오른쪽은 노트8 입니다. 최대출력 (V30: 75/75, N8: 15/15)(측정볼륨/최대볼륨) V30: 398mV N8: 422mV (노트8 기준) 볼륨 1칸 낮춤 (V30: 69/75, N8: 14/15) V30: 269mV N8: 267mV (노트8 기준) 볼륨 2칸 낮춤 (V30: 64/75, N8: 13/15) V30: 191mV N8: 189mV 6. IMD (SMPTE, 41Hz, 7993Hz, 4:1 ratio 0dBFS, HPF: 20Hz, LPF: 20kHz) IMD도 THD와 마찬가지로 왜곡을 측정합니다. THD는 하나의 사인파를 사용하는 반면에 IMD는 두개의 사인파를 사용합니다. 몇몇 기기에서는 THD 값은 좋지만 IMD 값이 매우 나쁜 경우도 있기 때문에 두 측정을 병행하여 사용합니다. (더 정확히는 THD는 배음 왜곡을, IMD는 두 톤 간의 상호 변조 왜곡을 측정합니다) THD와 마찬가지로 값이 낮을수록 좋습니다. 이어폰 모드 THD와 마찬가지로 이어폰 모드의 왜곡률이 G6보다 매우 높아졌습니다. 라인아웃 모드 헤드폰 모드 7. 주파수 응답 (20 ~ 96kHz, 0dBFS, HPF: 20Hz, LPF: 100kHz ) 기기의 음색과 대역폭등을 판단하는 주파수 응답입니다. 디바이스에서는 평탄하고 넓은 응답이 바람직한 응답입니다. 이어폰 모드 라인아웃 모드 헤드폰 모드 V30는 G6와 마찬가지로 차단필터 ≒ 복원필터 의 설계가 적합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주파수 응답이 상하로 요동치는 현상이 관찰됩니다. 청감상 큰 영향은 없겠지만 아쉬운 부분중 하나입니다. 8. 크로스토크 (10kHz, 0dBFS, HPF: 20Hz, LPF: 20kHz) 크로스토크는 좌 우 체널의 간섭 정도를 측정합니다. 단위는 dB, 값이 낮을수록 좌우가 더 명확히 분리된 좋은 설계입니다. 이어폰 모드 G6과 마찬가지로 이어폰 모드의 크로스토크가 다른기기에서 찾아보기 힘들정도로 매우 나쁩니다. 크로스토크는 청감하기 어렵지만, 크로스토크는 기기설계 수준을 반영하는 지표로 쓰이기도 하기 때문에 아쉬운 부분중 하나입니다. 라인아웃 모드 헤드폰 모드 9. 출력 임피던스 (20~20kHz, -20dBFS, HPF: 20Hz, LPF: 100kHz) 출력임피던스는 디바이스의 출력단의 임피던스를 측정합니다. 출력 임피던스가 클 수록 이어폰과 헤드폰의 임피던스가 주파수 응답에 크게 반영됩니다. 일반적으로 출력 임피던스는 0에 가까운것이 좋습니다. 0.9옴으로 충분히 낮은 값의 출력임피던스를 갖습니다. 총평 분명 지난 G6는 DAP에 비견될 만큼의 높은 수준의 음향성능을 보여줬습니다. 크로스토크와 주파수 응답에 약간의 문제가 발견되었지만, 청감상 큰 영향은 없고, 높은 음향설계를 위해 Trade-off 한것으로 보고 9점을 부여하였습니다. 지난 삼성 S8과 N8은 크로스토크와 주파수 응답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이어폰 모드의 THD와 IMD 값이 매우 높게 나왔기 때문에 낮은 점수인 6점을 부여하였습니다. 기기의 왜곡률은 출력이 높을수록, 부하의 임피던스가 낮을수록 높아집니다. S8과 N8은 400mV정도로 높지 않은 출력임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낮지도 않은 32옴 저항을 로드하였을때 왜곡률으 -70dB까지 떨어졌습니다. 일반적인 16옴, 더 낮게는 5옴까지 떨어지는 이어폰, 헤드폰을 연결하게 된다면 더 심각해질 수 있는 사안이기 때문에 저평가를 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V30은 삼성의 THD, IMD 문제를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지난 G6의 문제점이였던 크로스토크와 주파수응답의 결함을 수정하지도 못하였습니다. 지난 G6는 전체적으로 높은 음향성능을 보여줬기 때문에 이를 Trade-off라고 생각할 수 있었으나, V30은 아닙니다. 총점 V30: 5점 노트8: 6점 아이폰8: 8점 |
댓글 99
-
origin76
2017.10.31 01:49 [*.42.xxx.21]
이어폰모드 측정값 실망이라고 5점이라뉘..그리고 리뷰어가 특정제품 거론하면서 그거 사라고 말하는게 온당한건지..많이 당황스럽네요. -
Dop
2017.11.01 01:49 [*.216.xxx.52]
영상 다시보고 오세요
음질로 선택할거면 v30안사셔도 된다는 소립니다 -
NaZo
2017.10.31 02:01 [*.113.xxx.236]
(유튜브에 남긴 질문글 여기에도 남겨봅니다)
측정치 잘 봤습니다. 그런데 몇가지 궁금한 점이 생깁니다. 이어폰 모드에서 THD+N와 IMD수치가 낮아진 것은 잘 알겠습니다. 청감상 별 차이 없다 해도 수치가 나빠졌으니 안좋은 건 안좋은거지요. 그런데 이 수치들이 얼만큼의 중요도를 가지고 있기에 이어폰 모드의 2가지 수치가 안좋아 졌다고 해서 (크로스토크 안좋은거야 LG폰 종특이니) G6대비 V30의 점수가 반토막이 난 것인지, 그리고 어떤 기준에서 노트8보다 점수가 낮은지가 궁금합니다. G6보다 이어폰 모드에서의 수치가 나빠져서 흥분되신건 잘 알겠는데 말이죠.. 점수에 대한 객관적 기준을 말씀을 안 하신거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단순히 G6보다 구려졌으니 너 5점!! 이러시진 않으셨을 거구요. 텍스트 리뷰를 봐도 점수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네요. 리뷰어분의 어떤 생각이나 관점이 있으셔서 저 점수가 나왔을텐데 그게 궁금합니다. -
Gooooooogle
2017.10.31 02:44 [*.13.xxx.205]
저도 한마디하겠습니다. 솔직히 전 이런 '점수제'가 일반인들이 보기에 오해의 소지다 다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뭐?V30이 5점?헐..진짜 별론가 보다'라고요. 현실은 실사에선 차이가 없는데 말이죠. 하지만 한편으론 스튜51님의 의도는 ECO님의 생각과 약간 달랐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아이폰이 8점을 받고 놑8이 6점, V30이 5점이었죠. 저는 점수를 '절대적인'값에서 준게 아니라 '상대적인'값에서 준 것이라고 봅니다. 애초에 이런 분야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절대적'인 기준은 불가능한 이야기란걸 쉽게 아시리라 짐작합니다. 물론 이 부분은 전술했듯이 10점제로 해서 '상대적'인지 '절대적'인지 제대로 짚어주시지 않은 51님의 실수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고요.
하지만 저도 한가지 짚고 넘어가고 싶은게 있다면 이건 '음감 리뷰'가 아닌 '측정치 리뷰'라는 점입니다. V30이 보여준 안 좋은 부분은 어떻게든 수식어를 달아봐도 오디오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고려될 요소들이 아닙니다.
개인의 취향이~~좋은 점을~~이런게 들어갈 구석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라는거죠. 이건 '어떤 사람에겐 좋게 들리고 나쁘게' 들리는, 그런 문제가 아닙니다. 갑자기 귀에 꽂으면 위의 단점들이 한번에 사라집니까?
차이가 존재하고, 단점이 존재하는데 왜 그걸 부정하고 별거 아니라고 '단정'짓는지 궁금하네요.
솔직히 일반인은 G6든 S8이든 제대로 구분 못한다고 봅니다. 출퇴근시간에 지하철에서 가볍게 음악듣는 사람들에겐 유의미한 측정치 차이가 요즘 스마트폰에는 존재한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하지만 이건 '전문'리뷰입니다. 이 영상을 보는 분들 중 THD따지고 음분해도 따지는 사람들을 위해서(물론 전부는 아니겠지만) 잔뜩 기계들 끌어와서 측정을 하는거에요. 한마디로 여기서 생기는 간발의 약점은 어떻게든 제품상의 역린으로 평가될 수 있는겁니다. 만약에 님들이 원하는 잣대를 들이밀면 LG는 고급 음향마케팅을 할 이유도 없고 스튜51님도 영상에 '어, 잘 들리네요. 끝!'하면 땡이죠.
그리고 스튜51님에 대한 약간의 변호를 달자면 지난 G6때는 S8과 비교해서 분명하게 G6를 고평가하고 칭찬했던 분입니다. 유튜브를 가보세요. 스튜51이 '편파적'이라는 수식어와 '근본'이없다는 말을 들을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히 전 이걸 보면서 G6때가 생각나더군요. '821과 835는 실사에서 차이가 거의 없는데요!!'
.
.
.
.
.
.
후...여기는 전문적인 리뷰를 하는 곳입니다. 그냥 일반인 리뷰어들처럼 '어, 페이스북, 카톡 빠르게 잘 되고요...'이러면 언케의 컨셉은 상당히 퇴색됩니다. 전문리뷰사이트라는 점에서, 작은 차이도 분명하게 짚고 넘어가야하고 다른 조건들이 동등하다면 비교열세인 부분은 약점으로 평가되는게 당연합니다. 거기에 이상한 미사여구를 달아줄 이유도 없고요. 팬심으로 덮어줄 요소가 아닙니다.
후...밤세워 과제할려다가 여기서 이러고 있네요...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점수제의 명확한 기준제시가 필요하긴하지만 그렇다고 부정되야할 평가와 결론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로디
2017.10.31 03:01 [*.98.xxx.196]
스스로도 여기가 전문리뷰 사이트라고 하셨으면서 '상대적' '절대적'에서 '상대적'기준의 점수를 주는게 나쁘지 않다구요? 뭔가 말이 앞뒤가 안맞으신데요... -
Gooooooogle
2017.10.31 03:32 [*.13.xxx.205]
제 말의 의미를 잘못 해석하셨군요. 제 말은 각 기기간의 오디오성능의 격차를 말한 겁니다. 예를 들어서'절대적'기준이라면 아이폰엔 98점, 놑8엔 96점, V30은 95점. '상대적'기준이라면 아이폰이 8점, 놑이 6점, V30이 5점이라는 소리고요. 이해하셨나요? 앞에서 누차 말했지만 요새 모바일오디오는 매우 상향평준화가 된 상태입니다(그 기준이 일반적인 측정치가 아닌 체감영역으로 둔다면 말이지요). 때문에 점수 간격이 매우 좁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0.001의 차이처럼 말이지요. 하지만 이런 숫자를 정하기도 힘들고 체감도 어려울뿐더러 기본적으로 보는 사람들한테 전혀 배려있는 선택은 아니잖아요? 결국 현 시장에 나와있는,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데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서 다른 경쟁기종을 비교한 '상대적'인 점수책정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음향때문에 V30을 고민하신다면 그렇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같은 멘트를 괜히 날리는게 아니죠. -
로디
2017.10.31 04:19 [*.98.xxx.196]
잘못 해석 하고 말고의 문제가 아닙니다. 애초에 오현일 님께서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잡아 내린 점수를 구글님께선 어떠한 근거를 기반으로 해 상대적 절대적으로 나누어 절대적 성능으론 고만고만 하고 상대적으로 보았을 때는 그런 점수를 매기는게 가능하시냐는 겁니다. 애초에 이어폰 모드에서 thd,imd 값이 저렇게 나오는 이유는 애초에 V시리즈가 임피더스에 따라 세가지 모드로 나눠 자동으로 변동시켜 주기 때문입니다. v30의 -73과 g6의 -90,이 차이가 정말 클 거라 생각하십니까? 매우나쁘게 말하자면 오현일님은 음향 리뷰의 기본부터 무시하셨습니다. 리시버를 리뷰하는데 각각 한가지, 본인의 사용하시는 이어폰, 헤드폰만 사용하신게 그 첫번째고 15옴, 5옴 같은 초 저가 이어폰을 운운하신게 두번째 입니다. 이 문제는 진짜 본인께 답변 듣고 싶은건데 오현일님. 음향 리뷰하신다는 분이 번들로 딸려온 이어폰 그거 보지도 않고 그런 소리 하신거라고 밖에 안보이는데 제 말 맞습니까? 당장에 인터넷에 검색만 해봐도 스펙이 줄줄 나오는데도 15옴, 5옴 이어폰을 운운하시는 저의가 무엇이신지 심히 궁금합니다. -
Gooooooogle
2017.10.31 05:49 [*.13.xxx.205]
후...위에 제가 쓴 글 다시 한번 읽어보시고요..
1. 제가 말한 의.도.는...일반 사용자를 포함한 넓은 스펙트럼으로 보았을 때 아이폰, 놑8, V30이 체감할만한 측정치 차이가 아니라서 실제론 전체 스마트폰을 포함해서 표본을 추출한다면 셋 다 막상막하이므로 구간을 한정시켜서 비교책정을 했을지도 모른다는 겁니다. 막상막하니까 기계측정치까지 들어가는거죠...거기서 나오는 분명한 차이는 51님이 그래프를 해석하면서 나온 의견을 적은거고, 제 생각에는 적어도 그 점수 간격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애초에 그래프가 보여준 순위는 확실하지만 점수가 문제인거 아닙니까
2. V30왜곡률에서 -73에서 -90의 차이가 크냐고요? 하...진짜 마음같아선 제글 다시 읽어보고 오라고 백번더 말하고 싶지만...다시 말씀드리자면. 네, 그건 전혀 큰 차이가 아닙니다. 장담컨데 대부분의 사람은 그거 구분도 못해요. 근데 말이죠.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이건 '측정치'싸움입니다. 고급 오디오 분야엔 분명 이러한 차이도 큰 차이가 되는 양상이 존재합니다. 애초에 LG가 G6의 고급음향을 컨셉으로 내놓은 지금까지의 스펙들도 로디님의 말씀대로라면 진짜 일반 스마트폰들과 하나도 차별화되지 않는 무의미한게 되버리는겁니다. -73과 -90? 솔직히 전 이거 땜에 V30을 버리고 G6를 선택하진 않을 것 같아요. 하지만 LG가 원하는 '고급오디오'사상과 이전작인 G6가 보여준 퍼포먼스에 비하면 그놈의 '고급오디오'적인 관점에선 분명히 퇴보가 맞습니다. 차이가 존재하는거고요.
3. 요즘 제가 살려고 벼르는 모델이 있는데, 바로 ER4신형모델입니다. 이어폰계에서 브로드급에선 거의 최상급 모델들 중 하나죠. 그런데 그 놈 저항값이 45옴입니다. 제다 알기론 V30의 전문가모드가 50넘어서 켜진다고 알고있는데 레전더리급인 er4s를 끼어넣어도, 전문가 모드는 켜지지 않습니다. 자, er4s가 아마존 직구 가격으로 340달러입니다. 거기다가 세금붙으면 뭐 정말 짜증나죠. 근데 일반인들이 과연 이정도 가격의 er4s급 이어폰을 쓰고 다닐까요???참고로 제가 지금 쓰고 있는 이어폰은 JVC-FXT90입니다. 진짜 옛날에 나온거지만 아직도 쓸만한 V자를 보여주고 있죠. 이놈 가격이 요즘은 5만원얹어리 벌크로 팔리지만 2014년때엔 15만원이었던 나름 좋은 놈이었습니다. 근데 이 놈도 저항이 12옴에 불과합니다. 장담컨데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나 저같은 아마추어 매니아들도 그 전문가모드를 살리는게 절대 쉽지 않을겁니다(적어도 라이트유저들의 최고한계선일 애플인이어, 쿼드비트3, 디락, 갤S8AKG에선요). 물론 저항잭물리고 어찌저찌하면 됩니다만 그건 이 리뷰의 취지와 그리 부합하는 것도 아니죠. 그리고 그건 32옴짜리?(맞는지 모르겠지만 이 정도였던 것 같은)LG B&O도 예외는 아닙니다.저항이 낮아도 충분히 쓸만한 이어폰은 많습니다. 일단 저항값이 낮으면 안 좋은 이어폰쯤으로 생각하시는 것부터 이해가 가지 않고, 설사 일반인들이 사기 어려운 고가이어폰을 '기준'으로 측정하는게 과연 맞냐는 의문도 듭니다. 대부분의 일반인은 저가이어폰이나 보급형이어폰을 쓴다는걸 잊으신게 아닌가 합니다. 그리고 스튜51님이 쓰실 이어폰이 그리 싸구려틱한 것일리도 없고요. 애초에 골든이어스, 시코 이런 곳도 모두 여러 리시버로 측정해야하지 않는데다가 리시버가 주는 영향이 측정기기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습니다(정확히는 모르지만 Apx 525는 교차분석으로 객관적 지표를 산출해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첨언하자면 유튜브에 수튜51님이 올린 G6의 분석내용을 보고오셨으면합니다. '저의'가 궁금하시다고 하시던데 저야말로 갤노트8 음질이 개판5분전으로 나왔을 때엔 '객관적인' 리뷰였다가 V30이 개판4분전으로 나오니까 '이상한'리뷰로 반응하는게 약간 놀랍네요. -
로디
2017.10.31 07:08 [*.246.xxx.57]
그래프가 보여준 성능 자체는 세 기종보다 v30이 좋습니다. thd imd 크로스토크 이 세개가 나머지 기종과 비교해 비슷하거나 떨어질 뿐이죠 근데 아이폰은 8점 n8은 6점 v30은 5점이라는게 이해가 가신다구요? 성능리뷰에 있어 절대적이 아닌 상대적이라는 건 말 그대로 '개소리'입니다. 10과목 평균 90점 받은얘가 7,80점 받은 얘보다 세과목에서 조금 더 틀렸다고 그 얘들보다 시험 못본겁니까? 그럴거면 테스트는 왜 하죠? 그러시는 도중에 두번째에선 이건 '측정치'싸움이라며 인지부조화의 전형적인 예를 보이시네요? 제가 저의 운운한게 의아하다구요? 당장 구글님이 er4 시리즈를 벼르고 계시다면 충분히 잘 아실텐데요 에티키즈의 임피더스가 어떻고 가격이 어떤지를요? 하다못해 번들로 나오는 비앤오 플레이만 해도 30옴이 넘습니다. 근데 5옴 16옴 쓰는 사람은 큰일난다는 마냥 걱정 해주는 척 하길래 어이가 없어서 그랬습니다. 임피던스는 말 그대로 저항값입니다. 대체로 비싼 제품군은 임피던스가 높지만 그건 만들다보니 저항값이 올라간 거지 가격요소에 포함되는 이유가 전혀 못된다는 걸 정말 모르시나요? 마지막 말씀은 저를 향해 말 한건지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갤노트8 리뷰에 대해 일언반구도 하지 않았었습다. 도대체 뭘 보셨길래 제가 갤노트8 리뷰를 객관적이라 말했다 말씀 하시는지요? -
STUDIO51
2017.10.31 10:33
측정치에 대해 이해가 깊으시다면 측정치는 그 자체적으로도 객관적일 수 없으며 해석이 들어가는 순간부터 객관적일순 없습니다 객관적 해석이 가능하도록 측정치 RAW파일과 측정조건음 명기하였으며 주관적 해석에는 제 나름의 근거를 설명드렸습니다 -
무슨폰이좋을까
2017.10.31 05:58 [*.62.xxx.148]
LG빠들 그나마 내세울게 음향이었는데 그것조차 밀리니 현실부정들 하시네 G6의 음향성능을 인정했을 정도면 편파적인 리뷰는 아니라고 보는데요? -
부들부들떨고
2017.10.31 06:11 [*.39.xxx.194]
팩폭자제점..... -
비뢰수리왕
2017.10.31 07:00 [*.111.xxx.39]
아니 측정치가 잘못이 아니라 제목 및 레이팅이 이상하다는거애요. 좋은 점은 싸그리 무시하고 안좋은 저만 찍어서 기대보다 떨어지니 5점.. LG폰은 이랬어야 하는데 아쉽다 정도로 끝날 수 있는것을 마치 타기기보다 못한듯하게 적어 놨으니까요. 헤드폰, 라인아웃에서는 넘사벽만큼 좋고 크로스토크, THD를 제외하면 이어폰 머드에사도 노트8보다 좋습니다. 그런데도 노트6점, v30 5점 하면 정상리뷰인가요! 그냥 잘모르는 사람들 낚는 용도지요. 일정부분 성공한듯 하지만 리뷰어 신뢰성은 금갈수밖에 없죠. -
STUDIO51
2017.10.31 15:38
영상 안에서 대부분 사람들은 이어폰 모드를 사용할것이다 라고 점수의 사유를 공개하였고 헤드폰과 라인아웃 모드를 고려하더라도 이어폰 모드의 성능이 매우 나쁘기 때문이라고 까지 말씀드렸는데 뭘 더 말씀드려야 할까요? -
외계동물
2017.11.04 23:53 [*.223.xxx.75]
이제 깔께없으니까 영상의 본질은 보지도않고 부제만 보고 욕하네 충분히 부제를 정한이유가 영상 속에있슴에도 불구하고 -
찌누
2017.10.31 08:28 [*.156.xxx.17]
음향에 특화됬다 라는 폰의 측정값이 저리 나오니 좀 충격적이네요.. 엘지야;; -
찌누
2017.10.31 08:38 [*.156.xxx.17]
이어폰 모드 빼고 다른 측정값들은 삼성보다 괜찮은건가요? -
똘똘이쌤
2017.10.31 20:20 [*.151.xxx.91]
네. -
밍가
2017.10.31 08:56 [*.202.xxx.6]
엘모카페 가보니 반응들 가관이더군요.
객관적인 측정치를 제시하고 있는 훌륭한 리뷰임에도 불구하고 단지 노트8보다 점수가 낮다는 것만 늘고물어지며 '언제부터 언더케이지가 공신력이 있는 리뷰였나' 뭐 대충 이런 반응들이더군요. 그렇게 믿을만하지 못한 곳이라 생각하는데도 불구하고 여기까지 와서 부들부들거리는건 무슨 생각인지 모르겠네요. 리뷰가 100% 객관적일 수 있나요? 전 오히려 이번 리뷰가 객관적인 측정치를 제시하며 그를 기반으로 설명해주는 아주 바람직한 리뷰라 생각되는데 엘지를 단지 낮게 평가했다는 이유로 '그 분'들께선 기분이 좋지 못하셨나봐요^^ 제발 적당히들좀 합시다. 정신승리 그 이상 이하로도 안보이니깐. -
블랙사레나
2017.10.31 10:11 [*.62.xxx.30]
엘지빠라 그런게 아니라 리뷰 자체가 엉성한게 사실입니다. 애초에 hifi 전문가모드가 동작하는 헤드폰 모드 리뷰 빠진것도 문제구요. 해외 리뷰만 봐도 애플노트8보다 음감 떨어진다는 리뷰는 없는데 하다못해 아이폰에도 뒤쳐진다는 리뷰라니요 -
STUDIO51
2017.10.31 15:36
헤드폰 모드 측정 있습니다 다시 확인해 보세요 -
밍가
2017.10.31 15:37 [*.202.xxx.6]
리뷰가 엉성하다구요? 보니깐 리뷰도 제대로 안보신것같은데 리뷰부터 제대로 정독하세요 -
Dop
2017.11.01 01:52 [*.216.xxx.52]
쉴드 칠걸 치세요 -
LePiz
2017.10.31 13:36 [*.38.xxx.168]
거기 진짜 답 안나와요 앱등XX보다 심각함 오늘 한번 봤는데 V30이 어떻게 질 수 있냐고 언더케이지 돈 먹었냐고 의심하던데 참 가관입니다 ㅋㅋㅋㅋ -
찌누
2017.10.31 19:00 [*.156.xxx.17]
저도 거기에서 활동중인데욧 거기에서도 엘지 이상하게 쉴드 치던에들 유튜브 댓글까지 캡쳐에서 까고 있어요 제발 몇개 되지는 않는 글만 보시고 그 카페의 모든걸 판단하지마세요; -
찌누
2017.10.31 19:06 [*.156.xxx.17]
http://cafe.naver.com/optimuslteuser/575788
엘모카페에서도 깔껀 까는 사람들 있습니다ㅋㅋㅋ 제발 평범한 사람들까지 싸잡아서 욕하지 맙시다^^^^^ -
sbryu
2017.10.31 22:09 [*.109.xxx.45]
앵.. 말씀하신 카페는 오히려 LG한테 공격적이지 않나요..
다른데서 LG실드치는 사람들은 봤어도 그 카페에선 상당히 엘지전자한테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뭔가 사용자끼리 뭉처서 "엘지가 이런 버그 만들고 이런 부분은 잘못했으니까 반응 할때까지 항의하고 어떻게든 해결해보자" 라는 느낌이던데.. -
Gooooooogle
2017.10.31 09:58 [*.209.xxx.36]
전체적인 스텟입니다
밤새서 과제하느라 피곤해서...잘못적은 부분이 있을 수도 있으니까 혹시나 있으면 정정해주세요.
V30:
최대출력
이어폰: 397.8
라인아웃: 1.031Vrms
DNR
이어폰: 107.261
헤드폰:113.437
라인아웃:117.710
IMD
이어폰: -74.846
헤드폰:-92.456
라인아웃:-92.494
THD+N
이어폰: -72.863
헤드폰: -99.751
라인아웃: -102.936
크로스토크
이어폰: -48.899/-48.511
헤드폰: -67.788/-67.827
라인아웃: -109.070/-110.922
출력임피던스
"0.9옴으로 충분히 낮은 값의 출력임피던스를 갖습니다."
주파수 응답
"V30는 G6와 마찬가지로 차단필터 ≒ 복원필터 의 설계가 적합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주파수 응답이 상하로 요동치는 현상이 관찰됩니다. 청감상 큰 영향은 없겠지만 아쉬운 부분중 하나입니다."//
놑8:
최대출력
이어폰: 422.8
라인아웃: 0.955
DNR
이어폰: 105.792
헤드폰: 112.377
라인아웃:110.094
IMD
이어폰: -74.899
헤드폰: -82.601
라인아웃: -84.34
THD+N
이어폰: -71.027
헤드폰: -92.962
라인아웃: -93.104
크로스토크
이어폰: -63.055/-63.064
헤드폰: -70.391/-70.391
라인아웃: -63.791/-63.757
출력임피던스
"2.5옴으로 충분히 낮은 값으로 측정되었습니다. 아이폰8의 경우에는 0.3옴 G6의 경우에는 0.9옴입니다."
주파수 응답
"주파수 응답 자체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넓은 대역폭에 필터설계도 제대로 이루어져 주파수 응답이 출렁이는 리플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G6의 경우에는 리플이 보였던것과 대조적입니다. 청감상 차이는 없지만 이어폰 모드의 대역폭이 가장 넓습니다."
아이폰8:
최대출력
이어폰: 877.3
라인아웃: 881.4
DNR
이어폰: 95.850
라인아웃:95.921
IMD
이어폰: -85.597
라인아웃:-86.884
THD+N
이어폰: -93.097
라인아웃: -95.932
크로스토크
이어폰: -61.459/-61.432
라인아웃: -76.296/-76.867
출력임피던스
"출력임피던스는 0.3옴으로 매우 낮은 값이 나왔습니다."
주파수 응답
"주파수 응답이 G6와는 다르게 출렁이지 않는것을 보아 차단 필터는 잘 설계 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
Gooooooogle
2017.10.31 10:26 [*.209.xxx.36]
전체적인 경향성으론 아이폰이 V30을 앞섭니다. 그리고 놑8이 V30에 확실히 열세로 보이고요. 하.지.만. 전 이쪽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올려주신 수치들을 상대로 그냥 숫자놀음만을 한겁니다. 전문가분들은 실제 음감에서 A보단 B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되면 설사 A가 더 높게나왔어도 B에 강점을 찍을 확률이 높겠죠? 이 측정치는 '이신렬'박사님이 제공한것이고 해석하신 분이 스튜51님입니다. 전 다만 마지막으로 이 수치를 꺼내든 이유는 '완전히 근거없는 평가'라는 것에 대한 반박으로 단겁니다. 저같이 단순히 수치합산으로도 어느정도의 '상대적'경향성이 뚜렸하다고 봐요(물론 V30과 놑8은 잘 모르겠네요. 둘다 업치락 뒤치락하는데 수치상으론 V30이 조금 더 위지만 그래프 해석이 중요한거지 단순히 더하기 빼기가 중요한게 아니잖아요?) 그래서 스튜51님이 한번 (수고스럽더라도) 이렇게 평가한 이유를 상세히 (다시한번) 알려주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솔직히 전 약간 이해가 안 되는 점이 있다면 이 리뷰어가 전에 어떤 평가를 내려왔고 어떤 부분에 방점을 찍고 분석했는지 적어도 앞의 리뷰들은 보고 왔으면 '편파적인', '실망스러운 리뷰', '근본없는 측정치'같은 소리는 안 하지 않았나 싶은 점이에요. G6에 9점을 줬고, 갤S8과 비교해서 비교가 안 된다고 평했던 분이 비교적 혹독한 점수를 주고 놑8보다 더 낮은 평가를 줬다면 무턱대고 '평가'하기 전에 '왜 그랬을까'라는 의문에 초점을 맞추고 시작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
STUDIO51
2017.10.31 10:35
지난 아이폰 리뷰때 말씀드렸듯이 측정치들은 조화로 결정됩니다 한가지가 나쁘면 그 수준에서 음질이 결정되는것이죠 아이폰은 전체적으로 값들이 부족할 순 있지만 극단적으로 빠지는 부분은 없습니다 하지만 V30과 S8은 그 부분이 있고 V30은 하나가 아니란것이 문제지요 -
아자잘하자
2017.10.31 10:56 [*.70.xxx.26]
어쨌든 저쨌든 음향특화로 나온 녀석인데 g6보다 안좋은건 팩트아님?? 음향에 음자도 강조안한 노트8이랑 비슷한 수준이고.. 그러면 까는게 맞지 v30 산사람들 여기서 난리치지맙시다 -
아자잘하자
2017.10.31 11:01 [*.70.xxx.26]
그리고스튜디오51님 처럼 주관이 뚜렷한 리뷰어들이 많아져야 소비자들에게 좋은 제품으로 돌아온다고 믿고있습니다. 저도 예전에 리뷰관련 일을 했었는데 압박이 심했습니다. 자기 주관을 뚜렷히 세우고 굽히지 마세요~ -
그라나다
2017.10.31 12:17 [*.70.xxx.13]
알바들이 어제오늘 가입해서 물어뜯네 -
wnsdnjs
2017.10.31 12:41 [*.223.xxx.175]
여기서도 알바드립을 보네요...ㅋㅋ -
목향수
2017.10.31 12:37 [*.33.xxx.177]
ㅋㅋㅋ 재밋네요. 솔직히 전문가모드? 그런거 잘 모르지만 일반인들이 쉽게 다가설 수 없는 전문가 모드라면 있어도 필요없을 것 같아요. 기본 패키지로 누릴 수 있어야지 추가적인 비용이 더 들어간다면 장점이 될 수 없을 것 같아요. 아니면 극소수의 사람들만 누릴 수 있는 기능이라 많이 팔리는게 아닐지도요.. -
블랙사레나
2017.10.31 13:26 [*.62.xxx.30]
전문가 모드는 이름만 전문가이고 일정 옴 이상 리시버나 저항잭 끼우면 자동으로 활성화 되는겁니다 -
블랙사레나
2017.10.31 15:14 [*.62.xxx.63]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0091104&memberNo=32922216
음향전문가의 리뷰 입니다.
언더케이지와는 차이가 크네요 -
찌누
2017.10.31 17:11 [*.156.xxx.17]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vasurada0&logNo=221129332996&navType=tl&proxyReferer=http%3A%2F%2Fm.blog.naver.com%2Fvasurada0%3FcurrentPage%3D1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klaton&logNo=221129074518&proxyReferer=&proxyReferer= -
찌누
2017.10.31 17:12 [*.156.xxx.17]
V30 음질 논란 정리 글입니다(본인이 적지않았고 다른분께서 적은것입니다) -
Dop
2017.11.01 01:44 [*.216.xxx.52]
잘봤습니다~~ 리뷰가 시원하네요 역시 빠지지 않는 기본기가 중요하단걸 다시 한번 느낍니다 <div>팩트가 있는데 자꾸 이상한소리들 하지마세요</div> -
그리운옵두배
2017.11.01 02:35 [*.253.xxx.27]
http://cafe.naver.com/optimuslteuser/576237
댓글에 허위 사실 유포 하는거라며 정신승리를 할려고 하는군요 -
고투가이
2017.11.01 08:20 [*.36.xxx.102]
정량적 수치가 기대보다 낮은 것은 잘 보았습니다
다만 부제가 자극적인 면이 있는게 아쉽네요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리뷰에서 유일한 오점일 것 같아요 -
이쿠니쿠
2017.11.01 22:30 [*.195.xxx.75]
눈과 귀를 막으면서 지 듣고 싶은 것만 들으려 하고, 보고싶은 것만 보려는 사람들은 무슨 행태인지? -
검강
2017.11.02 08:06 [*.223.xxx.120]
아니 나쁜걸 나쁘다 그러지 그걸 좋게포장하면 그거야말로 객관적이지 않은 리뷰어인데? -
카산드라
2017.11.03 12:47 [*.62.xxx.121]
열폭인지 알바인지 몰라도 ㅋㅋㅋㅋㅋ 참 웃긴 사람들 많네. 측정치가 객관적이고 점수를 그렇게 매긴 이유까지 충분히 설명했는데 왜그리 딴소리들을 하시나. 아 혹시나 제 댓글엔 반대의견 달지 말아주세요 스압이라 대꾸하러 안 올거니까. -
하사장
2017.11.06 16:12 [*.244.xxx.19]
소니제품도 리뷰해달라고 유튜브에 댓글 달았는데요.. 이전에 리뷰한것이 있다고 댓글 달아주셨는데 소니제품 리뷰를 못찾겠네요;;;
듣는 사람 귀마다 취향마다 다르겠지만 절대값으로 평가하는거 저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음질 리뷰하는 사람들끼리 함께 모여 같이 리뷰해도 재밌을꺼같네요~ -
Fun
2017.11.10 18:45 [*.49.xxx.42]
저 점수는.. 전 기종에서 개선되어 졌는지에 대한 점수인가.. -
눈팅의본좌
2017.11.17 02:45 [*.236.xxx.118]
결론은 차라리 노트8이 낫다는 거네요
헬지는 음장도 딸리는 주제에... -
Endless
2018.02.01 01:38 [*.156.xxx.157]
우선 운영자님의 리뷰가 너무공감이 갑니다.ㅜㅜ음질하나만 믿고 v10부터 사용했던 사람으로써.님의 리뷰를 보지못하고 덥썩 v30사고나서 후회하고있는중입니다. 대책이 없을까요. 헤드폰은 sony mdrz7 쓰는데. 극복이 안되네요. 저항잭을 사면 괜찮아질까요? 음질은 벅스 flac , radsone 효과 까지 켜는데도 실망스럽네요.님의 전문가적인 리뷰가 이해는 잘되지않습니다만 해상도가 심각히 떨어진것같다는 느낌이맞을까요? 소리가 뭉뚱그려진다는 느낌을 받네요. 집어던지고싶을정도입니다 .음향기기가 아닌 휴대폰이라 2년노예를 해야한다 생각하니 정말 속터지네요ㅜㅜ